부산 공략 나선 대선후보들… “경호 수준 최대로” 부산 경찰 긴장 고조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선후보 경호는 ‘을호’ 등급
유세 현장에 기동대 배치 대비
후보마다 요청 방식 달라 ‘민감’
온라인 협박 글도 적극 수사

대통령선거 선거운동이 본격화 하면서 대선 후보들의 경호에도 비상이 걸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13일 경북 구미시 구미역광장 유세 현장의 경찰특공대원의 경호 모습(위)과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부산 자갈치 시장 유세현장을 살피는 경찰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연합뉴스 대통령선거 선거운동이 본격화 하면서 대선 후보들의 경호에도 비상이 걸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13일 경북 구미시 구미역광장 유세 현장의 경찰특공대원의 경호 모습(위)과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부산 자갈치 시장 유세현장을 살피는 경찰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연합뉴스

대선후보들이 이번 주 부산 공략에 나서면서 경찰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지난해 1월 부산에서 이재명 후보가 피습당하면서 ‘경호 실패’를 한 것을 교훈 삼아 경호 태세를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부산경찰청은 기동대를 중심으로 대선후보 경호 대책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보안상 이유로 자세한 경호 방법과 인력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유세 현장에 기동대를 배치해 인파 관리와 비상 상황에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수영구 국민의힘 부산시당을 시작으로 남구 산업은행 부산 이전 예정지와 중구 자갈치시장을 잇달아 방문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14일 부산을 찾고,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이번 주 부산에 방문하는 일정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후보는 경찰관직무집행법과 경찰 내부 규정 등에 따라 경찰로부터 ‘을호’ 등급의 경호를 받는다. 경찰이 담당하는 최고 경호 등급으로, 4부 요인(국회의장·대법원장·헌법재판소장·국무총리)에게 제공되는 경호와 같은 수준이다.

이들의 경호는 경찰청과 부산경찰청의 합동 작전 형태로 이뤄진다. 지난달 본청이 선발한 180명 규모의 전담 경호팀과 부산의 일선 경찰서 인력이 함께 신변 보호조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신변 보호조는 24시간 밀착 경호를 제공한다.

후보마다 요청하는 경호 스타일이 다른 점도 경찰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 중 하나다. 김문수 후보는 인파가 몰리는 전통시장을 위주로 유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좁은 도로에 시민이 몰리는 유세 현장 탓에 경찰 긴장감도 높다. 이준석 후보는 유권자와 밀접한 관계를 위해 과도한 경호를 지양하는 스타일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 인력들도 제복 대신 사복 차림으로 현장 통제를 나서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지난 11일 전남 화순군을 방문한 이재명 후보 유세 현장에는 폴리스라인으로 시민과 이 후보 동선을 구분하는 모습이 보였다. 지난 12일 서울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열린 대선 출정식에서는 방검복을 착용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지난해 부산 강서구 가덕도에서 목에 칼이 찔린 트라우마가 여전하고, 이 후보를 겨냥한 러시아제 소총이 밀반입됐다는 제보가 접수되는 등 여러 상황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자체적으로도 테러 대응 TF를 구성하는 등 이 후보 신변 보호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런 정황들을 고려해 이 후보의 부산 유세 현장은 시민 통제나 경호 태세가 더욱 삼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부산의 한 경찰은 “부산에서 유력 후보 피습이 있었고 후보에 따라 유세 일정을 갑자기 바꾸는 경우도 있어 이번은 더욱 긴장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특히 시장 같이 후보와 시민이 뒤엉키는 장소에서 유세는 매번 긴장되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경찰청은 온라인을 통한 협박 글도 수사하고 있다. 경찰청은 이재명 후보를 향한 위해·협박 글 7건에 대해 수사해, 1건은 송치했고 나머지 6건은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통령 선거 개표가 종료되는 내달 3일까지 본청을 비롯해 전국 18개 시도경찰청, 259개 경찰서에 유세장 경비, 후보 신변 보호를 담당하는 선거경비통합상황실을 운영한다. 투표 당일에는 최고 단계인 ‘갑호 비상’ 근무를 발령, 6만 8000여 명의 경찰 인력을 동원할 계획이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